본문 바로가기
리브메이트 퀴즈

10. 22.(금) 리브메이트 오늘의 퀴즈 정답!!, 함께 소비할 때 효용이 더 커지는 보완재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쌀과 빵, 잉크와 펜, 커피와 설탕, 보완재, complement goods, 대체재, substitute goods

by 휘여리 2021. 10. 22.
728x90
반응형

일주일을 포인트 적립하며 마무리 해봐요~

오늘도 리브메이트 퀴즈를 풀어보자!! 출첵도 해주고!!

 

 

 오늘의 문제는 '함께 소비할 때 효용이 더 커지는 보완재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이다

728x90

 

과연

.

.

.

10. 22.(금) 리브메이트 오늘의 퀴즈의 정답은 !!!

"쌀과 빵" 이다.

 

보완재[complement goods]

두 재화를 동시에 소비할 때 효용이 증가하는 재화를 말한다.

 

두 재화를 따로따로 소비했을 때의 효용을 합한 것보다 함께 소비했을 때의 효용이 증가하는 재화를 '보완재'라고 하며, '협동재'라고도 부른다. 보완관계에 있는 두 재화 중 한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도 증가하고,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두 재화의 수요 모두 감소한다. 예컨대 커피-설탕, 펜-잉크, 바늘-실, 버터-빵을 들 수 있다.

대체재 그래프(왼쪽)

Y 가격(=Py: 세로축)이 오르면 Y의 수요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X의 수요량(=X: 가로축)이 증가하므로 Y 가격과 X의 수요량은 비례한다. 참고로 가로축에 해당하는 X(X의 수요량)는 Qx라고 쓰기도 하는데 보통 X로 통용된다. 

보완재 그래프(오른쪽)

Y 가격(=Py: 세로축)이 하락하면 Y의 수요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X의 수요량(=X: 가로축)도 증가하므로 Y 가격과 X의 수요량은 반비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보완재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대체재[substitute goods]

재화 중 동일한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로, 다른 재화의 가격변동에 대한 해당 재화의 수요변동의 민감도를 뜻하는 교차탄력성이 양(+)일 경우를 말한다.

 

재화 중에서 동일한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를 이르며, ‘경쟁재’라고도 부른다. A와 B 두 재화가 있다고 할 때, A 재화의 가격 상승(하락) 시 A 재화의 수요가 감소(증가)하는 반면 B 재화의 수요가 증가(감소)하면 두 재화는 대체재다. 예컨대 버터-마가린, 쇠고기-돼지고기 등을 들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체재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아 ~~ 그리고 출석체크도 잊으시면 안됩니다!!!

 

 

적립한 리브메이트의 포인트리는 국민은행 계좌에 현금으로 교환, 대한항공 또는 아시아나클럽 항공사 마일리지 또는 네이버 페이, 페이코, SSG, 현대,  엘포인트, TV포인트, 머니트리 등의 제휴사 포인트로 교환 가능하다는 사실 꼭 기억하며 오늘도 퀴즈를 풀자!!!!

 

728x90
반응형